[한국목재신문=한국목재신문 편집국]

코로나19로 목재자원수급이 어려워지자 목재산업계는 자국의 산림자원 이용을 다시 생각하게 한다. 우리는 언제쯤이나 우리의 산림에서 생산된 목재를 다양한 가공분야에 마음껏 사용할 수 있을까?

일본은 해외 원목수입을 줄이는 방향으로 국산 목재 이용정책을 활성화한 결과 합판제조에 국산원목을 80% 이상 사용하고 있으며, 주택을 짓는 목조자재를 국산화했고 가구나 인테리어재도 국산화율을 높여가고 있는 실정이다. 삼나무와 편백나무의 원목과 제재목을 해외로 수출하는 수출진흥정책을 지속적으로 펼치고 있다.

코로나19가 장기화되고 원자재 수급에 빨간 불이 켜지자 국산재 수급정책이 이대로 좋은가 되돌아보게 된다. 지금은 국산재가 해외서 수입되는 일부 품목의 원자재만 커버하기 때문에 다양한 제품의 수요를 창출하는 제재용 목재자원공급은 요원한 상황이다. 우리나라는 목재자원의 질적 개선 정책보다는 국산재사용 비율에 집착한 양적 정책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15% 남짓한 국산재 사용비율을 높이거나 유지하는데 정책의 중심이 있고 국산재로 부가가치를 일으키는 다양한 이용정책이 결여돼 있다. 높아진 임목축적도에 상응하는 고부가가치 시장 확대정책은 찾아보기 어렵다. 국산재를 이용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과 투자가 필요하지만 산림에서 벌채되는 원목을 집하하고 선별해서 필요한 기본적인 제재와 건조를 어떻게 누가 해야 하는지도 불분명하다. 일본의 경우 산림조합이 기본적인 역할을 하지만 우리나라는 산림조합은 목재보다는 버섯을 키우고 산나물을 가공하는데 더 열심이다. 국산 목재가공업이 산나물가공업이나 조경수업보다 더 못한 정책대우를 받고 있는 게 사실이다.

국산목재이용이 활성화되지 못하는데 여러 요인이 있겠지만 결과적으로 우리의 산림에서 제재용으로 사용할 만한 산림자원을 조성하지 못하고 있다. 지금도 산림청은 경제림 조성정책을 말하고 양적 정책이 아닌 연구개발을 통한 고부가 목재제품 창출과 고용확대에 대해선 구체성이 결여된 정책을 내놓고 있다. 산림청의 예산이 이 부분에 얼마나 사용되는지 보면 정책의 중요도와 진정성을 판단하게 된다. 우리나라에서 벌채되는 활엽수의 1%도 안 되는 양만이 제재소로 가고 있다. 제재소에서 제재를 거쳐야 가구와 생활용품도 만들고 마루와 외장재도 만들 수 있는데 제재를 하지 않으니 꽉 막혀 있다. 바닥재, 데크, 수제가구, 생활목공에서 국산 활엽수재를 사용하고자 하는 수요는 많지만 산림청은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

국감이나 여론의 질타가 두려워 국산재 이용 비율만 신경 쓰는 목재자원 이용정책이 지속된다면 산주와 목재산업의 미래가 없다. 우리나라는 이미 높아진 임지가격과 사유림 비율 때문에 양적 기반의 산림정책은 한계가 있고 이를 계속해선 미래가 없다. 질적 변화가 필요하다. 산림자원이 빈약한 우리나라는 연구와 개발 투자를 통한 목재제품 개발에 나서야 한다. 투자를 통한 제품개발로 세계적 상품을 만들어 고용을 창출하고 목재산업의 국가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 또한 고령화 사회에 맞는 국산재 목재제품 개발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낮은 수준의 예산 투입으로 프로젝트를 해본들 결과는 뻔하다. 산림청 예산의 전폭적인 투입이 필요한 시점이다. 산림청은 세계 어디서도 통할 수 있는 디자인과 제품개발에 예산을 편성해 투입해야 하고 제품생산에 필요한 원목이나 제재목 자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공급 시장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국산재로 개발한 제품들의 내수판매 진작을 위한 판매플랫폼에도 투자를 해야 한다.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