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목재신문=한국목재신문 편집국]

2016년 목조건축 착공동수가 14,945동을 기록한 이래 올해는 1만 동 이하가 될 것이 확실시 돼 업계 관련 종사자들의 탄식이 더욱 깊어지고 있다. 2016년 이후 2만 이상 3만 동까지 늘어날 것으로 모두가 장밋빛 결과를 예상했으나 현실은 정반대로 움직이고 있어 목조건 축산업은 유래없는 불황 속으로 빠져들었다.

2016년 이후 철골조의 착공동수는 15%가량 감소했으나 목조는 무려 37%나 감소했다.

이 기간동안 목조의 연면적 감소도 32%나 줄어서 시장규모는 반 토막 난 거나 다름없어 시장의 충격은 가늠할 수 없을 정도로 깊다. 해당 업계는 매출이 급감하고 고용이 감소돼 성장 동력을 잃어가고 있다.

목조건축, 특히 목조주택의 착공수 감소는 여러 가지 점을 시사한다. 목조주택의 선호도가 낮아지는 이유를 객관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업계에서는 2007년 이후 가파르게 상승했던 목조주택이 보수유지 시점이 오자 부실시공에 따른 많은 문제점이 드러나며 건축주들이 외면하고 있다는 분석과 소규모 주택에 대한 법과 제도가 강화되면서 건축허가과정이 복잡하고 어려워지는 등 법과 제도규제에 의한 시스템 문제를 거론하고 있다. 설계사들도 감당하기 어려운 구조계산, 내진설계를 해야 하는 등 비용증가와 설계서비스 부족은 건축주가 목조건축을 외면하는 구실을 주었다. 소규모목조주택에 대해 구조 및 내진설계 확인서 제도가 실시됐지만 활성화 자체는 미지수다. 목조주택의 건축허가가 표준 매뉴얼화 하지 못하면 시장의 추락은 막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더 추락하기 전에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 건축허가과정을 단순화해 안심하고 장수명 주택이 되도록 신뢰기반을 구축하는데 특단의 노력이 필요하다.

한편, 지구환경에 관심이 높은 유럽국가나 심지어 북미국가에서도 기후변화 대응일 환으로 이산화탄소 저감이 가장 수월하다고 평가되는 대량목재건축(Mass Timber Construction)을 앞다투어 시행하고 있다. 건축법을 바꾸고 정책을 내세워 공공건축이나 대규모 빌딩, 주거지역 조성 등을 통해 목조건 축물이 콘크리트 건축의 대안으로 빠르게 자리 잡고 있는 실정이다. 노르웨이의 미에스트 라네(140m), 보스턴시의 제로에너지-탄소절감 친환경 목조주택 프로젝트, 프랑스의 16층 목조아파트, 영국의 엣지런드브리지(26층, 철근-목재 혼합), 호주의 포르테리빙(34m), 캐나다의 브룩커먼스(47m), 호주 비엔나시의 호호(118m), 호주 시드니의 어스타워(180m, 40 충) 등이 지어졌거나 지어지고 있는바 세계는 바야흐로 목재로 고층빌딩 영역까지 건축영역을 넓히는 추세다. 대부분은 구조용집성판(CLT)를 이용한 건축으로 빌딩뿐만 아니라 대규모주거단지에도 적용이 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이렇게 목재사용이 확대되고 있는데 우리의 목조건축 시장은 거꾸로 가고 있으니 참담하고 답답한 상황이다.

이제부터라도 우리도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목조건축을 제도적으로 활성화하는 다양한 정책을 수립해야 하고 당장 실시해야 한다. 해당 협회도 어렵겠지만 뜻을 모아 굳건한 정책 실현이 될 수 있도록 힘을 모아야 한다.

목재산업은 건축과 가구가 성장의 핵심이다.

건축과 가구산업이 활성화되지 않고서는 그 어떤 노력도 효과가 미미할 것이다. 기후변화의 피해는 우리 모두의 책임이기 때문에 우리는 목조건축과 가구산업을 활성화를 통해 국가적 의무도 해소해 나가야 한다.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