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목재신문 이명화 기자

최근 목재산업박람회와 대한민국목조건축대전 시상식도 열리는 등 목재의 다양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는 시간들이 많았다. 목재에 관심을 갖는 일반인들도 늘어나고 작게는 가구에서부터 넓게는 건축에 이르기까지 이제 목재는 생활속에 깊이 자리잡힌 듯 하다.
연말을 앞두고 한가지 아쉬운 점은 자유로운 의견 토론회 자리가 공식적으로 마련되길 바래본다. 최근 산림청이 정부기관 최초 ‘국민 눈높이 대토론회’를 개최했던 사례처럼 대국민은 아니더라도 기관과 협회와의 자리 또는 기관과 업체와의 자리 같은 목재기관이 목재산업의 목소리를 직접 듣는 자리가 마련됐으면 한다. ‘국민 눈높이 대토론회’는 산림·임업분야의 제도를 개선하고 규제 개혁을 위해 마련됐다고는 하지만, 실제로 목재산업체를 위한 실질적인 토론회가 됐었는지는 의문스럽다.
마루재, 루바, 테이블, 주택까지 이제 목재가 쓰이지 않은 곳이 없는데, 전체 건축시장은 위축되고 있지만 목재 사용은 오히려 더 늘어나고 있다. 비록 천연목재를 대체하는 친환경 필름, PVC, 대리석, 합성목재와 같이 경쟁제품들도 늘고는 있지만 그래도 천연목재를 찾는 소비자들의 갈망은 늘어나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일인것 같다.
현재 8개 목재제품 고시가 시행중이고 집성재, 목질바닥재, 성형목탄은 12월말에 시행 예정이다. 이제 몰라서 못했던 시절은 가고 지금이야말로 소비자들에게 자신있게 목재를 권할 수 있는 시대가 성큼 다가온 것이다. 아직도 목재를 수입하거나 생산하는 회사들은 고시에 대해 관심이 적거나 모르는 분들이 과반이지만 시작이 반이라고 업체들이 조금만 더 정책에 관심을 기울이고 또 건의할 것은 적극적으로 건의해서 산업체가 좀 더 편하고 소비자들은 정확히 목재를 구매할 수 있는 시장을 만들어 갔으면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선의의 경쟁도 해야겠지만 목재인들 내부의 결속력도 필요하다. 그 시작을 목재기관이 열어갔으면 한다. 목재법 시행초기에는 법이 시장에 정착하는 시간이었다면 올해는 안정화 단계에 와있다고 한다. 하지만 여전히 정책이 순항하고 있는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 지난 6월과 9월 산림청의 대대적인 단속이 있었고 그러면서 업체들은 목재법이 하는 일을 이제 구체적으로 알아가기 시작했다. 일부 업체는 하소연을 하고 일부는 바람직한 일이 시작되고 있다며 좋은 시선을 보내기도 한다. 이에 업체들이 산업에서 겪는 어려움을 자유롭게 말하고 서로 이야기를 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되길 바래본다. 꼭 목재의 날에만 많은 사람이 모이기 보다는 각 목재기관에서 적어도 분기별 1회씩 이라도 업계 토론의 날 같은 것이 마련된다면 적어도 ‘몰라서 못했다’ 라는 이야기는 적지 않을까 한다.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