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대한목재협회 김승태 전무이사

 땅에 관한 이야기는 민감하다. 그럼에도 굳이 말하고자 함은 사안의 절박함 때문이다. 근년에 들어 인천 북항 인근은 개발 열기로 뜨겁다. 대부분이 목재와 관련된 창고나 공장을 짓는 일들이다. 얼핏 목재업계가 영역을 넓혀나가는 듯 보인다. 착시현상이다. 그 땅들의 소유권만을 놓고 본다면 목재업계가 새로운 땅을 차지해 나가고 있는 것이 맞다. 그러나 토지의 이용 면에서는 목재의 영역이 확장되고 있는 것이 아닐뿐더러, 원목 야적장은 도리어 그 영역이 급격히 축소되고 있다. 그렇다고 목재업 내부 업종간의 자리다툼으로 보는 시각은 옳지 않다. 그냥 두었더라면 목재와 관련 없는 업종들이 차지했을 것이 뻔하기 때문이다.
원목장이 문제이다. 인천에 원목 보세야적장은 한진 3·4창고와 원일창고 등 세곳이 남았다. 그보다 넓은 면적의 원목 보관창고가 몇 년 사이에 사라졌다. 더군다나 남은 곳도 원목 야적장으로서의 수명은 경각에 달려있다고 보는 것이 비단 나만의 생각은 아닐 것이다. 지금 한진창고를 세내어 쓰는 업체들은 6개월 단위로 계약을 연장해 가고 있다. 아침이면 펼쳤다가 해지면 거두어 들이는 노점상이 아니라 수천 수만m³의 원목을 들여오는 수입상들의 이야기이다. 원목 쌓을 자리가 없어지면 거기에서 뻗어나가는 목재산업의 자리도 무의미해진다. 부산이 그랬다. 따라서 원목 야적장을 지키는 일은 원목상을 살리기 위해서가 아니라 목재산업의 고사를 막기 위해서라도 필수적이다. 그러니 각자 알아서 하라고 버려둬서도 아니될 일이고, 자신들의 코가 석자인 창고 주인을 붙들고 하소연해서 될 일도 아니다.
땅이 있다. 원창동 북항 옆 ‘항만배후단지’내에 약 14,000여평에 달하는 ‘화물차 휴게소’라고 불리는 땅이 몇 년째 비어있다. 해양수산부 소유이고 인천항만공사가 관리하는 땅이다. 부두가 가까워서 먼지나 해충의 비산을 방지하고 운송이나 소음 방역에 따르는 민원의 발생 또한 전혀 걱정할 것이 없는 등으로, 원목 야적장으로 안성맞춤인 땅이다. 안정적인 원목장을 마련할 수 있는 마지막 땅으로 보인다. 그래서 절실하다.
용도를 바꾸는 일이 남았다. 산림청은 전체 목재산업을 지킨다는 관점에서 관계 부처에 협조를 구해야 한다. 국산재 활성화의 길이 될수도 있다. 인천시는 관내의 수많은 목재기업들의 명운이 걸린 심각함으로, 해수부와 인천항만공사는 항만발전과 국유지의 효율적인 운용이라는 면으로, 목재업 종사자들은 이웃의 일이 아니라 바로 나의 일이라는 생각으로 다같이 나서야 한다. 급하다. 죽은 나무를 되살릴 수 없듯이 더 늦으면 돌이킬 수 없다. 원목 쌓을 땅만 비좁은 것이 아니라, 지면도 비좁아 속을 다 풀어놓지 못해 답답하다.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