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목재신문 홍혜은 기자
산림청에서는 2009년부터 주택용 펠릿보일러 지원사업을 실시해 왔고, 2012년부터는 산업용 펠릿보일러 지원사업을 실시해 왔다. 지원사업의 명목은 펠릿의 보급량 확대를 위한 것으로, 현재 주택용 펠릿 보일러의 경우 5개 업체가 제조업체로 등록돼 있고, 산업용 펠릿 보일러는 6개 업체가 제조업체로 등록돼 지원을 받고 있다.

산림청에서 실시한 지원사업이 실제로 연도별 목재펠릿 생산량과 판매량을 점차 증가시키는데에 일조한 것이 사실이지만 이를 위한 지원사업이 보일러에 국한돼 있어 문제다. 온풍기나 난로를 통한 실질적인 펠릿 소비가 가능한 시장이 생성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펠릿 난방 기구에 대한 지원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현재 산림청에서는 주택용 보일러는 에너지관리공단의 승인을 받은 제품을, 산업용 보일러는 내부 전문가 심의를 거친 제품이 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기자와의 통화에서 산림청 관계자는 “온풍기나 난로에 대한 지원 내용은 따로 없지만, 산업용의 경우 20만㎉ 이상의 용량을 지녔을 경우 지원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답변하면서 “다만 주택용의 경우 난로나 온풍기는 개인이 구매하는 제품인 만큼 자발적 시장이 형성되고 있다고 보기 때문에 펠릿 보급량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하더라도 보조금을 줄 필요가 없다고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애매한 기준에 대한 지적이 업체들 사이에서 불만으로 제기되고 있음에도 불구, 펠릿의 실소비가 가능한 제품군에 대한 아무런 지원이 이뤄지고 있지 않다는 점은 상당히 아쉽다. 펠릿 지원사업의 명목이 펠릿 보급량 확대에 있다면 더더욱 아이러니한 사실이다. 산림청의 펠릿 보일러 지원사업이 국내 펠릿 보급에 영향을 끼친 것은 사실이지만 관공서 위주로 이뤄지고 있음은 특히나 그렇다.

펠릿 난로와 온풍기가 개인이 구매하는 제품이고 개별시장이 생성되고 있다는 측면에서 소위 나랏돈으로 모든 업체들을 도울 수 없다는 것은 어느정도 공감이 가능하다. 하지만 현재 시행되고 있는 지원사업이 실질적으로 최근 업계 분위기를 반영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난방기구의 보급이 펠릿의 보급량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칠 것임은 분명한 사실이다.

펠릿에 대한 보급이 시작된 것은 불과 몇 년 되지 않았다. 판매량이 꾸준히 늘고 소비자의 인식이 많아지는 것도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업체는 진화하고 있다. 제품 또한 마찬가지다. 펠릿에 대한 보급량이 늘어나고 있다고 해서 방심하기보다는 실질적인 지원을 늘려 나가야 한다. 제조에 대한 지원과 소비자에 대한 지원이 각각 구체적으로 실시돼야 한다. 펠릿의 보급량을 늘리기 위함이 지원사업의 실질적인 목적이라면 그에 합당하고 명확한 내용들이 추가돼야 한다.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