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나무의 해부학적 특성 2

대나무의 유관속 종류

▲그림 1. 맹종죽(A), 향나죽(B), 소백죽(C) 및 대태죽(D)의 유관속
▲그림 2. 절간(A), 절(B)과 격벽(C)의 조직 구조 및 유관속초의 섬유(D)와 기본조직의 축방향유세포(E)
대나무는 탄력성, 할렬성 및 통직성 등의 특성으로 인해 지금까지 건축재, 가구재, 낚싯대, 죽세공품 등의 특수한 용도로 이용돼 왔으며 또한 두꺼운 세포벽을 지니고 있는 다량의 세포로 인해 펄프의 원료로도 이용되고 있다.

유관속의 종류로는 맹종죽(孟宗竹, Phyllos tachys edulis) 등처럼 한 덩어리의 유관속으로 이뤄져 있으며 유관속초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것, 향나죽(香竹, Cepha lostachyu m pergracile) 등처럼 한 덩어리의 유관속으로 이뤄져 있으며 유관속초에 의해 둘러쌓여 있지만 원생목부 부근의 유관속초는 나머지 3개의 유관속초보다도 현저하게 큰 것, 소백죽(小白竹, Oxytenanthera albociliata) 등처럼 두 덩어리로 나눠져 있는데 유관속초에 의해 둘러쌓여 있는 유관속과 고립돼 있는 1개의 유관속초로 이뤄져 있는 것 그리고 대태죽(大泰竹, Thyrsostac hys oliveri) 등처럼 세 덩어리로 나눠져 있는데 유관속초에 의해 둘러쌓여 있는 유관속과 안쪽 및 바깥쪽으로 고립돼 있는 2개의 유관속초로 이뤄져 있는 것이 있다(그림 1).

간의 발생 초기 단계에서는 중심부가 수(pith)의 조직으로 가득 차 있지만 생장된 간에서는 그 내부가 비어 있다. 이러한 수의 조직은 주위의 조직에 비해 세포분열의 기능이 약하기 때문에 주위 세포의 분열과 증대에 따른 비대생장 및 절간의 신장생장을 따라 발달되지 못하기 때문에 세포간극이 생기고 결국 중심부에 수강(pith cavity)이라는 큰 빈틈이 형성되는데 그 내벽에는 파괴된 수 조직의 잔류물인 죽지(竹紙)가 얇은 막 모양으로 부착돼 있다. 그런데 대나무에 있어서 비대생장은 형성층의 활동에 따른 세포 수의 증가에 의한 것이 아니라 1차조직의 성숙과정을 따라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비대생장이기 때문에 1차 비대생장이라고 부르고 있다.

간이 성숙되지 않았을때는 절간의 기부에 세포분열이 왕성한 조직이 있어 각 절간은 이 부분의 세포분열에 의해 신장생장을 이루어 나가게 되는데 이처럼 세포분열을 일으키는 부분을 절간분열조직(intercalary merist em) 그리고 이러한 신장생장을 절간생장(intercalary growth)이라고 부르고 있다.

절에는 횡단벽인 격벽이 있기 때문에 간의 할렬 방지에 도움을 주게 된다. 격벽의 조직에는 불규칙한 형태의 유세포가 존재하는데 특히 중심부에는 세포간극이 많은 통기조직이 잘 발달돼 있다. 또한 절의 부분에서는 수평방향의 많은 소형 유관속이 절간의 축방향 유관속으로부터 분지돼 나와 격벽을 가로질러 반대쪽 절간의 축방향 유관속과 연결되어 있지만 격벽 중의 유관속은 불규칙하게 굽어져 있거나 접합 또는 분지돼 있는 망상의 구조를 보이고 있다(그림 2의 B~C).

<다음호에 계속됩니다.>
국민대학교 임산생명공학과 엄영근 교수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