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재의 해부학적 특성 16

▲그림 1. 단천공판을 지니는 예덕나무(A)와 망상천공판을 지니는 백당나무(B)의 방사조직세포, 녹나무의 기름세포(C~D), 흑호두나무 축방향유세포 내의 결정(E), 붉가시나무의 다실결정세포(F), 팽나무 방사유세포 내의 결정(G), 오구나무 타일로시스 내의 결정(H) 및 백메런티 방사유세포 내의 실리카(I~J).
▲그림 2. 사정(A), 능형결정(B), 집정(C), 침정(D), 세장형결정(E), 주정(F)과 속정(G) 및 실리카(H).
유세포에 함유돼 있는 결정의 종류
유세포에 함유돼 있는 결정 가운데 가장 빈번하게 그리고 가장 많은 수종의 활엽수재에서 관찰되고 있는 형상의 것은 단독의 사방육면체 또는 팔면체인 능형결정(prismatic crystal)이다. 그 이외에도 길이가 폭의 4배 이상인 기둥 모양의 것으로써 선단이 뾰족하거나 사각형 모양인 주정(styloid), 길이가 폭의 2~4배 정도 되는 것으로써 선단이 뾰족한 세장형 결정(elongate crystal), 바늘처럼 생긴 것으로 다발을 이루지 못한 침정(acicul ar), 침정이 다수 밀집돼 다발 모양을 이루고 있는 속정(raphid), 공 모양의 덩어리로써 별사탕처럼 생긴 집정(druse) 그리고 매우 작은 미립자 모양의 것이 모여있는 사정(crystal sand)이 있다(그림 1의 G와 그림2).
능형결정은 서어나무, 서인도수자목(West Indian satinwood, Fagara flava), 아프리카마호가니(African mahogany, Khaya ivorensis), 졸참나무, 팽나무 등에서 관찰되고 주정은 멜라위스(melawis, Gonystylus bancanus) 등에서, 세장형결정은 블랙베리나무(blackberry tree, Vitex glabrana), 유럽 쥐똥나무(European privet, Ligustrum vulgare) 등에서, 베르돌라고(verdolago, Te rminalia amazonica), 황벽나무(Phelloden dron amurense) 등에서 관찰된다.
또 침정은 멜리나(Gmelina, Gmelina ar borea), 황딱총나무(yellow elder, Tecoma stans) 등에서, 속정은 셈퍼(sempur, Dillen ia reticulata), 포도나무(Vitis vinifera) 등에서, 집정은 벽오동, 산벚나무(Prunus sarg entii), 아프리카자두나무(African plum, Dacryodes edulis) 등에서 그리고 사정은 과라니나(guaranina, Bumelia obtusifolia) 등에서 관찰되고 있다.

실리카
화학적으로 이산화규소(SiO2)로 통칭되고 있는 실리카(silica)는 온대산 활엽수재에서 찾아볼 수 없지만 열대산 활엽수재 가운데 이우시과의 백메런티(melapi, Shorea assa mica)를 비롯한 많은 수종에 존재하고 있다(그림 1의 I∼J와 그림 2의 H).
실리카가 가장 많이 관찰되고 있는 세포는 방사유세포이며 그 다음이 축방향유세포인데 티크 등처럼 도관요소에 그리고 미리피리(milipiri, Canarium hirsutum) 등처럼 격벽목섬유에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실리카의 형태로는 작은 입자들이 모여 구상(球狀) 덩어리를 이루고 있는 입괴상(粒塊狀), 작은 입자들이 모여 있으나 완전한 구상의 덩어리를 이루고 있지 못한 응집상(凝集狀) 및 유리 모양으로 세포내강을 피복하고 있는 유리상의 3종류가 있는데 입괴상의 것이 가장 많이 관찰되고 있다.
응집상의 것은 망가시노로(manggasino ro, Shorea philippinensis) 등에서 그리고 유리상의 것은 메타케리(meta keli, Gyno troches axillaris) 등에 존재하고 있다. 실리카가 다량 존재하는 경우 톱날이나 대팻날 등과 같은 칼날의 마모가 심하게 일어나 목재의 제재나 절삭 가공 등에 있어 장해를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해양 천공충류에 대한 저항성이 부여되기 때문에 이들에 의한 목재의 피해가 줄어드는 이점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실용적인 목적에서 백나왕(white lauan, Pentacme contorta), 안티포로(antipolo, Artocarpus blancoi) 등처럼 실리카의 함량이 0.05% 이상인 경우 실리카를 지니는 목재 그리고 백세라야(white seraya, Parashorea plicata), 적나왕(red lauan, Shorea negrosensis) 등처럼 실리카의 함량이 0.05% 이하인 경우 실리카를 지니지 않는 목재라고 부르고 있다.

<다음호에 계속됩니다.>
국민대학교 임산생명공학과 엄영근 교수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