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1. 단천공판을 지니는 예덕나무(A)와 망상천공판을 지니는 백당나무(B)의 방사조직세포, 녹나무의 기름세포(C~D), 흑호두나무 축방향유세포 내의 결정(E), 붉가시나무의 다실결정세포(F), 팽나무 방사유세포 내의 결정(G), 오구나무 타일로시스 내의 결정(H) 및 백메런티 방사유세포 내의 실리카(I~J).
▲그림 2. 풍개나무의 초상나무의 초상세포(A), 타일세포의 모식도(B), 두리안(C), 발사(D~E)와 바요르(E)의 타일세포 및 유럽 회양목의 이접방사유세포(G). 오구나무 타일로시스 내의 결정(H) 및 백메런티 방사유세포 내의 실리카(I~J).
특수한 유세포
수평방향으로 배열하는 유세포로써 수평검구 주위에 존재하며 검을 생성하는 에피델리움세포가 있으며 기름세포, 결정세포, 초상세포, 타일세포, 방사유관, 타닌관, 유적 등은 방사조직과 관련있는 특수한 유세포나 조직에 해당된다.
축방향유조직 및 방사유조직 중에 존재하는 기름세포는 스트랜드유세포의 일부 또는 방사조직 상하 가장자리의 일부 세포에 기름 성분의 물질이 함유돼 있는 것으로써 상당히 대형화돼 있으며 녹나무, 생달나무(Cinnamom um japonica), 후박나무 등에 존재한다. 축방향유세포 및 방사유세포 중에는 결정을 지니는 세포인 결정세포가 있는데 온대산 활엽수재보다도 열대산 활엽수재에 더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격벽(septum) 또는 얇거나 두꺼운 세포벽(cell wall)에 의해 더욱 분할된 소실(小室) 내에 결정이 함유돼 있는 것을 다실결정세포(chambered crystalliferous cell)라고 부른다. 이러한 결정은 유세포 이외에도 오구나무(Sapium sebiferum) 등처럼 타일로시스 내에 그리고 석류(Punica granatum) 등처럼 격벽목섬유 내에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그림 1의 B~G).

초상세포와 타일세포
벽오동(Firmiana simplex), 팽나무, 풍게나무(Celtis jessoensis), 암베로이 등의 접선단면에서 볼 수 있듯 다열방사조직의 가장자리에 존재하면서 안쪽의 평복세포를 마치 칼집 모양으로 둘러싸면서 배열돼 있는 직립세포가 있는데 이를 ‘초상세포(sheath cell)’라고 한다. 그리고 방사단면에서 볼 때 평복세포와 높이가 거의 동일하거나 또는 다소 더 높은 직립세포로써 내용물을 전혀 지니지 않는 특수한 방사유세포인 타일세포(tile cell)가 일부 활엽수재의 방사조직에 발달돼 있는데 횡단면 상에서 다소 규칙적인 방형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으로 불리게 됐다.
타일세포는 일반적으로 평복세포 사이에 존재하면서 방사방향으로 연속 배열을 이루고 있는데 벵간(benggan, Neesia altissima), 두리안속(durian, Durio) 등처럼 세포의 높이가 평복세포와 거의 동일한 두리안형 그리고 발사, 바요르속(bayor, Pterospermum) 등처럼 평복세포보다 높은 바요르형이 있다(그림 2).

<다음호에 계속됩니다.>
국민대학교 임산생명공학과 엄영근 교수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