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재의 접착과정
목재에 접착제를 도부하면 어떤 현상이 일어날까? 접착제를 목재 어느 한 표면에 도부하면 도부면에서 스스로 습윤과 침투가 일어나게 됩니다. 그 후 접착하고자 하는 목재의 양 재면을 서로 밀착시키게 되면 접착제가 움직이기 시작하는데 먼저 접착층에서의 유동(flow)이 일어나게 되고 접착제가 도부되지 않은 반대 재면으로의 접착제의 전이(transfer)가 일어나게 됩니다. 압체 압력을 높이게 되면 접착제가 도부된 면에서 접착제의 침투가 계속 진행되며 아울러 접착제가 도부되지 않은 면에서도 침투(penetration)가 일어나기 시작합니다. 이어 도부하지 않은 면에서도 목재와 접착제 분자간의 작용에 의한 습윤(wetting) 또는 침투가 진행됩니다. 압체압력을 유지하게 되면 접착제의 모든 거동이 끝날 때까지 양 목재가 그 상태로 붙어 있게 되는데 결국 이 상태에서 접착제가 고화(solidification)됨으로써 접착이 완료됩니다.

▲접착층에서의 접착제 거동 순서
접착제를 만들거나 접착 후 접착층의 조건에 따라 여러 형태의 경화 결핍이나 장애가 고화중에 일어나 접착력의 저하를 불러일으키는 현상을 알아보겠습니다.

고화가 충분히 이뤄지기 이전에 중단된 경우에 발생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열경화형의 경우 열압시간이 너무 짧다거나 또는 상온 경화형의 경우 너무 차가운 재면에 도부한 경우에 나타나게 되는 미경화(undercure)현상. 완전 경화 상태를 넘어 그 이상으로 접착제가 고화된 경우에 발생하게 되는데 이 경우 접착층이 손상되기 시작하는 과경화(overcure) 현상. 너무 많은 양의 충전제를 사용했거나 또는 접착제가 너무 빨리 건조됨으로써 접착제중의 입자상 물질들이 접착막으로 완전히 동화되기에 시간이 충분하지 못한 경우 접착층에 입자 모양의 상태가 나타나게 되는 입자(grainy) 현상. 접착제의 교반 또는 도부 중에 발

▲고화의 종류
생한 거품이나 기포가 그대로 접착층에 남아있거나 아니면 열압중에 접착제중의 용제나 수분이 열의 작용에 의해 접착층에 거품이나 기포를 남기게 돼 비연속적인 접착층으로 인해 접착력이 떨어지는 발포(frothy 또는 foamed) 현상. 접착제 성분에 따른 흡수 차이에 의해 일어나게 되는데 목재가 여과지로써의 작용을 하게돼 수지 성분은 목재내로 침투하지만 증량제나 충전제가 재면에 남게 되는 경우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수지 성분의 부족으로 접착층의 파괴에 대한 저항력이 낮아지게 되는 여과(filtered) 현상. 대개 두꺼운 접착층에서 발생하게 되는 일정하지 못한 형상의 균열을 일컫는 균열(crazed) 현상. 너무 차가운 재면에 초산비닐수지접착제를 도부하는 경우 주로 발생하는 현상으로 낮은 온도로 인해 입자상의 접착 유효 성분이 서로 융합되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하게 되는 백악화(chalky) 현상. 접착제가 도부된 재면이 접착제의 유동과 전이가 일어나도록 접촉됐으나 양 재면이 접착제가 경화되기 전까지 서로 떨어져 있는 경우에 발생하게 되는 점묘(stippled) 현상이 있습니다.

<다음호에 계속됩니다.>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