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에도 해방이후에도 인천항은 철도와 건축에 필요한 목재를 조달하는 매우 중요한 항구였다. 목재가 가장 많이 들어오는 입지로 인해 목재가공산업이 다른 도시에 비해 월등히 발달할 수밖에 없었다. 그런 이유로 인천은 목재산업의 메카라 불리 우고 당시에는 쟁쟁한 목재회사들이 즐비했던 곳이었다. 시대가 흘러 원목부족과 석유파동을 거치면서 다른 산업에 선두를 내어주게 됐다. 이후로 인천의 목재산업은 사양의 길을 걷는 업종으로 낙인돼 정책적 배려에서 한동안 배제돼 버렸다.

지자체가 해당 산업을 외면하면 그 산업은 힘도 못써보고 사라져야 할 운명이다. 인천의 목재산업이 그런 운명에 놓여 있다. 목재산업은 벌크한 원목을 수입해 와 가공을 하는 산업이다. 그래서 항구에 인접한 곳에 가공시설을 놓고 제품을 생산해 운반비용을 줄여야 경쟁력이 확보되는 산업이기도 하다. 그래서 항구인접부지가 매우 중요하다. 또한 항구인접부지라도 임대비용이 경쟁력을 지녀야 한다. 그럼에도 인천의 항구부지 임대료는 광양에 8배, 부산에 5배, 평택에 2배 비싼 것으로 조사됐다. 인천시가 계속 높은 임대료를 요구할 경우 인천의 목재산업은 장기적으로 다른 시·도로 옮겨가야 할 수밖에 없는 처지가 될 것이다.

최근 대한목재협회가 모 대학에 인천지역 목재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대해 용역을 의뢰했는데 그 결과를 살펴보면 목재산업의 산업의 특화도(2.148), 부가가치창출(72.9%), 생산유발계수(1.365), 취업유발 계수(12.48)면에서도 상위에 분포돼 다른 산업보다 차별받아야 할 대상산업이 아닌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조사대상 목재기업의 대부분이 인천지역의 원목야적장이 부족할 경우 평택항으로 이전하겠다(60%)고 했고, 목재산업 클러스터의 적합부지로는 북항배후단지(89%)를 꼽았다. 목재산업단지가 조성되면 생산유발효과는 총 1조598억 원으로 예상된다고 이 보고서는 언급하고 있다. 그렇다면 인천시가 목재산업에 최소한 다른 산업과 동등 또는 그 이상의 정책배려를 해야 한다는 결론에 이른다. 저탄소 녹색성장 시대에 목재산업만큼 각광받는 산업이 많지 않다. 사양의 길에 접어드는 산업은 눈앞의 현상만 놓고 하는 말들이며 실제 목재산업은 새로운 도약의 시점에 접어들고 있다. 인천시에는 약 15%에 해당하는 목재 및 가구 제조업체가 밀집돼있고 종사 인구 비율은 30%에 육박하고 있으나 점점 그 수가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목재산업의 메카 인천시가 녹생성장시대에 맞는 집약적인 목재산업 특화정책을 내 놓길 바란다. 그렇지 못할 경우 목재와 가구산업이 빠져나가 인구감소로 인한 소비감소와 실업율 증가 그리고 부동산 공실율이 높아지는 등 인천경제에 먹구름이 낄 것이다. 인천의 미래도 불투명해 질 것이다.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