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형운 편집·발행인
시각의 차이는 정책을 수립하는 데 엄청난 변화와 결과를 불러 온다. 목재업계는 단결이 안 된다는 말을 자주 듣는다. 전자는 정책을 만드는 산림청이 귀 기울여야 하고 후자는 목재관련 협.단체가 곱씹어야 할 대목이다.

우리가 발전하려면 올바른 정책과 협력이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추진될 때만이 가능하다. 우리는 근자의 북항배후부지 입주문제를 보면서 ‘소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속담에 해당하는 상황인식을 하게 된다. 북항배후부지는 1997년 해양수산부의 ‘목재 클러스터 건립 계획’으로 29만4천 평이 계획돼 있었다. 그러나 타산업의 로비로 몇 차례 정부 입장이 바뀌면서 목재업계에 3만4천평만 할당됐다. 당초 계획에서 10%만 남았다. 10마리 소중에 9마리를 잃었다. 문제는 과정에 있다. 물론 필자도 문제제기의 시점을 놓친데 책임을 통감한다. 대한목재협회는 이를 해결하고자 동분서주 했으나 얻는 것이라고는 주관사의 지분비율을 50%에서 30%로 낮추었을 뿐이다. 잃은 소 9마리는 돌아오지 못했다.

이런 심각한 상황속에서도 아이러니하게 산림청은 신청마감이 얼마 남지 않았는데 6군데 협회에 신청독려공문을 보냈다는 것이다. 업체에서는 신청서류가 너무 복잡해 컨설팅 업체를 동원해도 시간이 부족하다고 한다. 해당 산림청 공무원은 이일은 우리가 나설 일이 아닌데도 신청공문을 보내주었다는 면피성 태도를 보였다. 이 일은 산림청일이 아니고 국토해양부와 항만청에서 할 일이라는 태도라는 인식이다. 단편일지라도 산림청의 존재를 의심케 한다. 목재업계의 당면 현안을 외면하는 데에는 외산을 사용하는 목재산업이라는 인식이 팽배돼 있음을 표출하는 대목이다.

이 시각에 대해 분명한 판단이 필요하다. 수긍할 만한 논리가 있어야 한다. 원양어업에서 잡은 오징어나 연근해에서 잡은 오징어나 다른 나라로부터 수입을 통해 들여오는 오징어를 가지고 가공하는 산업은 분명 ‘식품산업’이라는 한 단어로 족하다. 우리의 ‘목재산업’도 한 단어면 족하다. 국산 또는 외산으로 차별하는 정책은 의미 없다. 원료이기 때문이다.

산림청은 ‘국산목재 편중정책’라는 방어적 울타리를 걷어 치워야 한다. 스스로를 좁은 울타리에 가두고 임업의 본질을 외면하는 결과를 가져다 준다. 산림청은 일본의 임야청을 보고 배워야 한다. 일본산 목재를 수출하려고 전세계를 뛰어 다니는 공무원을 보고 배워야 한다. 일본산 목재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사용량을 높이기 위해 펼치는 각종 법률지원과 정책을 깊이 들여다 보아야 한다. 산림청은 목재산업의 발전이 임업의 발전임을 통감하고 모든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말차야 한다.

협회는 좀 더 긴 안목을 가지고 회원사들을 단결하게 해야 한다. 이미 물건나간 일보다는 앞으로 진행되는 일이 그르치지 않도록 충분하게 대비해야한다. 협회는 산림청이 더 이상 발뺌하지 못하도록 분명한 정책을 펴라고 주문하고 비판해야 한다. 필요하면 머리띠라도 둘러야 한다.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