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은 올 해 420만 입방미터의 국산재를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엄청난 양이다. 2010년 뉴질랜드에서 한 해 우리나라로 수입되는 라디에타파인에 해당하는 양의 2배에 이른다. 2010년 뉴질랜드산 라디에타파인 240만 입방미터를 수입해 오는 금액은 약 3300억 원에 달한다. 그런데 우리나라가 2009년 340만 입방미터를 생산해 나온 금액은 1846억 원에 불과하다. 국산재의 부가가치가 현저히 낮다는 뜻이다. 이런 데에는 수종갱신이나 숲가꾸기 산물이 많다는 등도 이해 못하는 바는 아니다.

하지만 20cm 넘는 직경의 국산재가 제재소로 가는 게 아니라 펄프공장이나 보드공장으로 간다면 문제다. 애써 키운 보람도 없이 가장 부가가치가 낮은 곳으로 가는 셈이다. 자원의 낭비다. 산업용으로 사용가능한 직경은 제재소나 가공공장으로 가서 부재로 만들어지고 톱밥이나 죽데기가 부산물로 펄프나 보드공장으로 가는 것이 순리다. 산주의 입장에서도 부가가치를 올릴 수 있다.
국산재의 부가가치를 올리기 위해서는 가격을 결정할 수 있는 시장기능이 필요하다. 가락시

과 같은 기능이 필요하다. 벌목된 목재가 선별되어 ‘목재공판장’에 도착돼 경매나 공매를 거치도록 하면 등급에 따른 시장거래가격이 형성된다. 그렇게 되어야 산주도 직영벌채를 하거나 아니면 좀 더 유리한 조건에서 목상에게 팔아서라도 임목가격을 받을 수 있다.

지금은 경급가리지 않고 무더기로 1.8미터로 잘라 차에 많이 실리도록 해 파는 것이 일상화 돼 있다. 40년 이상 길러온 나무를 헐값에 처분하는 애석한 일이 벌어지고 있다. 한옥이 새로운 주거형태로 각광받는 시점에서는 15-18cm 직경의 원목도 길게 잘라 서까래용으로 만들면 더 높은 값에 팔 수 있다. 문제는 임도나 기계화인데 산림청은 지금의 예산보다 10배 이상 투자해야 한다. 한국의 임업이 업으로서 존재하기 위해서 산림청은 경제림 조성과 부가가치 있는 원목생산에 앞장서야 한다. 가공업체가 원하는 등급과 양을 확보해 주어야 한다.

식목한지 60년이 지난 지금 산나물생산액(3024억 원, 2009년)보다 못한 목재생산액(1846억 원, 2009년)을 기록하는지 반성해야 한다. 산림청이 아니라 ‘산나물청’이 났겠다. 살아 있는 나무를 옮겨 심는 조경수생산액 8200억 원에 반에 반도 못 미치는 용재생산은 분명 비판 받아야 한다. 이제는 양보다는 질을 선택할 때다. 무조건 펄프공장이나 보드공장에 보낼 생각 말아야 한다. 국산재를 500만 입방미터 이상 생산하면 펄프나 보드공장의 원료 공급의 문제는 해결되지만 건축 내외장재나 구조재 등의 부가가치 이용은 지금의 생산방식으로 개선될 여지가 적다. 조림 의지가 무참히 꺽기게 된다.

산림청은 산주가 나무를 팔아 생활이 되게 해 주어야 하며 국산재가 목재가공공장에 투입돼 다양한 부재로 가공되도록 예산투입과 제도개선에 나서야 한다.

녹색산업의 선두에 서 있는 임업이 정작 그 구실을 못한다면 산림청의 존재가치도 그 만큼 줄어드는 것이다. 산주가 목상에게 헐 값에 ‘산떼기’하는 일은 더 이상 없어야 한다.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