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목재신문 김태영 편집장
 국립산림과학원의 품질인증센터 설립이 산림과학원의 법인화와 함께 증발했지만, 법인화를 통해 품질인증팀의 강화가 예상되고 있다. 법인화는 금년 상반기 안으로 진행될 것이 예상되고 있어 목재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또한 업계는 금년부터 산림청이 임촉법에 따라 목제품 품질인증표시를 의무화 해 품질인증팀에 대한 기대가 한 층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대와 달리, 품질인증팀의 구성이 걱정스러운 방향으로 흘러가는 듯 해 안타까움을 금치 못하고 있다. 산림청 또는 산림과학원의 범주가 목재산업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충분히 이해하는 바이지만, 품질인증팀의 중점적 과제가 산양삼 등 임산물의 품질인증으로 기울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기 때문이다.

물론 산양삼과 같은 임산물의 품질인증도 무역개방 확대 등으로 주요 사안이 될 것임에는 틀림이 없겠지만, 혹여 이 때문에 목제품의 품질인증이 뒷전으로 밀려날까 우려된다는 것이다.

목재산업이 산림청에게 주요 산업으로 분류되지 않아 관조적이라는 것은 이미 알고 있지만, 매번 거는 기대와 기대에 대한 실망감은 형용할 수 없는 수준으로까지 번지고 있다.

목재산업은 여러 해 전부터 목제품의 품질인증 중요성에 대해 다양한 루트를 통해 강조하고 있다. 이 같은 목재산업의 요구를 산림청도 숱하게 들었으니, 모르지는 않을 것이다. 특히 최근에는 실내환경문제와 관련해 국제적으로도 인증관리 체제가 강화되고 있고, 국내에서도 주거문화의 웰빙지향 추세로 목제품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품질관리강화가 절실한 상황이다. 그러나 아직 목제품은 전문기관의 품질인증 관리가 이뤄지지 않고 있어 전문인증기구의 설립이나 협회기능을 활성화시켜달라는 주문을 끊임없이 해 온 것이다.

간단한 예로 친환경건축자재의 평가에서 목제품이 인정되지 않는데, 이는 목제품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합리적이지 못한 테스트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누구나 친환경자재로 알고 있는 목제품이 친환경건축자재로 인정받고 있지 못하다는 사실에 실소만 나올 뿐이다.

저탄소 녹색성장이라는 우리 정부의 정책기조는 전 세계적으로도 공통사항이다. 이미 선진국들은 목제품 사용이 온실가스저감을 위한 길이라고 판단해 사용을 권장하고, 그에 따른 품질 평가와 인증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2008년과 2009년 사이에만 세계목제품 관련 인증이 40%가량 증가했다는 점은 이러한 추세를 대변하고 있다.

목제품은 산업과 정책, 연구, 표준, 인증, 규제/지원 모두가 연계된 목재산업 분야의 전문적 관리, 실행체제가 구축되어야만 한다. 때문에 산림과학원의 품질인증팀이 목재산업에 미칠 영향은 절대적이라 할 수 있다. 부디, 이 같은 업계의 심정을 정부가 알아주길 바라며, 또 다시 다른 산업에 치여 목재산업이 눈물짓는 일이 없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