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이 펠릿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애를 쓰고 있는 것이 2~3년 정도 되는 듯하다. 펠릿에 대한 중요성과 산업화를 모색하는 산림청을 보면서 가장 먼저 들린 소문은 정광수 산림청장을 만난 이명박 대통령이 ‘당신은 펠릿 하나만 신경 쓰시오’라고 했다는 것이다. 소문이어서 진상을 알 수는 없겠지만, 그만큼 산림청은 펠릿만 제 자식인양 목재공급을 위해 임도 개설이며, 산물수집단 확대며 하는 정책을 내놓기 일쑤였다. 또 신규 설비 하나 놓겠다고 산림청에 융자금 신청을 해 놓고 마냥 기다리던 업체들은 수 십억씩 지원돼 세워지는 펠릿 제조 공장들을 보고 뒷목을 잡아야만 했다.

펠릿은 지금 경제성이 없다, 또는 시기 상조다라는 불만을 뒤로하고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RPS)를 통해 사용량 확대를 꿈꾸고 있다. 의무할당제에서도 목질계 바이오매스는 다른 원료에 비해 1.5배의 가중치를 주기로 했다. 다른 원료 1을 쓸 때, 목질계는 같은 양을 쓰더라도 1.5로 쳐 준다는 것이어서, 사용량 증가가 기대되는 상황이다. 많이 사용할 수 있도록 산림청이 지경부를 계속해서 설득한 결과다.

그런데 과연 이 결과가 목재펠릿을 많이 사용하게 하는가 하는 것은 미지수다. 이유는 상대적으로 펠릿은 가공 전인 폐목재보다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폐목재를 그대로 연료로 사용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결국 펠릿산업을 키우는 것이 아닌 폐목재 소각현상만을 부추긴 꼴이 될 것이다.

폐목재는 PB 제조를 위한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폐목재 연료화 증가로 인해 PB 제조사로 가던 폐목재가 발전소로 향하고 있다. 더 비싼 값에 쳐준다니 PB공장보다 발전소를 택한 것이다. 이로 인해 동화기업은 이달 말 PB 공장 하나를 폐쇄할 예정이다. PB공장 폐쇄로 100여 명의 노동자들을 해고한다고 한다. 펠릿 생각하다가 목재산업을 축소시키는 꼴이 된 것이다. 해고된 노동자들을 펠릿산업의 활성화로 고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면, 산림청의 펠릿산업 정책은 비생산적이고, 소모적인 것인 정책으로 낙인 찍힐 것이다.

펠릿산업은 PB산업을 대체하기 위해 활성화 시키는 것이 아니다. 그렇다면 펠릿 활성화를 위한 정책이 PB 또는 그 외의 산업에 피해를 줘서는 안 된다. 목재산업을 파괴해 가면서 펠릿을 성장시켜야 하는 이유가 도대체 무엇인지, 그것이 정당한 것인지 산림청은 곰곰이 생각해 봐야 할 것이다. 정부가 원하는 것이 펠릿 산업의 성장이라 할지라도 산림청은 목재산업을 지켜야 할 책임과 의무가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