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옥은 정부가 한스타일 육성정책의 일환으로 활성화 정책을 펼치고 있는 핵심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 전라도를 중심으로 한 한옥 열풍은 한옥마을, 한식 인테리어 등 다양한 컨텐츠로 대중들 앞에 나서고 있다.

전주 한옥마을의 경우 금년에만 330만 명의 관광객이 다녀가고, 서울 북촌 한옥마을도 2006년 2만 명도 안되던 관광객이 25만 명으로 늘었다고 하니, 그야말로 ‘한옥 열풍’이라 하겠다.

이러한 산업의 성장과 함께 정부는 국토해양부를 중심으로 한옥 활성화 계획을 2007년부터 2014년까지 연구해 2020년에는 한옥 르네상스의 시대를 맞이하겠다는 야심찬 포부를 밝혔다. 이와 함께 매년 여러 차례 심포지엄을 개최해 연구 진행상황과 비전을 제시해 한옥 활성화에 대한 적극적 의지를 보이고 있다.
지난 7일에도 한옥 활성화 심포지엄이 열렸다. 이날 심포지엄에는 건축분야 전문가와 지자체 담당관 등이 참석해 현행과제와 해결책에 대해 열띤 토론을 거쳤다. 심포지엄을 주관한 건축도시공간연구소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한옥 활성화 정책의 비전과 목표, 실천로드맵을 보여주고, 산업기반 구축 및 제도정비 방안에 대해 발표하기도 했다.

심포지엄의 내용은 목재산업에도 매우 고무적인 것이었다. 한옥의 정의에 목구조방식 건축물이라는 표현이 들어감으로써 앞으로 정부 지원 하에 진행되는 한옥건축물은 목구조가 될 것임을 말해주고 있다. 실제로 한옥에서 목공사가 차지하는 비중이 50% 가깝다는 점은 한옥 시장의 절반이 목재산업이라는 것과 다름이 없다.

지금도 한옥은 목재산업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최근에는 프리컷시스템을 도입해 한옥부자재의 대량생산체계를 갖추고 현장조립을 줄여 건축시공비를 획기적으로 줄이기도 했다. 한옥에 대한 관심 증대와 더불어 우리 목재산업도 그만큼의 준비를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한옥 활성화를 논하는 이날의 자리에서 목재산업 전문가는 없었다. 물론 주제에 따라 참여인사가 달라질 수는 있지만, 이날은 한옥 활성화의 로드맵을 제시하고, 각종 제도나 지원에 대해 논하는 자리였기에 목재산업의 관심과 참여가 어느 때보다 필요했으리라 생각된다.

생각에 따라서는 한옥 정책 연구에 목재산업은 일부일 수 있지만, 유통시스템이나 공업화, 기계화 등 여러 방면에서 목재산업의 목소리가 필요하다. 더욱이 정책적으로 이들에 대한 계획이 있는 상황에서는 말이다. 법안이 다 만들어지고, 시장 시스템이 다 갖춰진 다음에 목재산업이 목소리를 내봐야 소용이 없다. 한옥 활성화를 위해 반드시 목재산업도 한 몫을 해야 한다. 좋은 제품을 만들고, 경쟁력을 키우는 것만이 목재산업의 역할은 아닐 것이다. 정책연구 과정에 있어서의 목재산업의 역할, 그것은 산림청이든 협단체든 책임지고 해내야 할 일이다.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